[NCS] 일반상식 - 한국사 중세시대(고려)
일반상식 대비 한국사 정리했음
1. 중세시대
고려의 건국과 여러 왕들의 정책, 문벌귀족사회, 거란.여진.몽골 등과의 대외관계 중심
[정치]
1)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
2) 통치체제 정비
- 왕권의 안정 : 광종(노비안검법, 과거제, 호족 세력 숙청, 공복제정, 황제 칭호 사용, 연호 사용), 성종(최승로의 시무 28조 수용, 제도정비)
- 통치 조직의 정비 : 2성 6부제 운영(중서문하성, 상서성, 중추원, 어사대, 삼사) + 도병마사, 식목도감
3)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
- 거란의 침입과 격퇴 : 고려의 대 거란정책, 거란 1차 친입(소손녕의 친입,서희,강동6주,교류), 거란 2차 친입(개경함락, 양규 격파), 3차 친입(강동6주 반환거부, 강감찬 귀주대첩, 나성 쌓아 수도 경비, 천리장성 축조)
- 여진의 성장과 동북 9성 : 고려의 대 여진정책, 여진정벌, 여진의 금 건국(이자겸 금의 요구 수용, 고려의 북진 정책 중단)
4) 흔들리는 고려 귀족 사회
- 이자겸의 난
-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
- 무신 정변
- 문신들의 반란
- 농민과 천민의 저항 운동
5) 대몽 항쟁과 공민왕의 개혁
- 몽골과의 전쟁 : 팔만대장경 조판, 문화재 소실(초조대장경, 황룔사 9층석탑), 삼별초의 행쟁(강화도-진도-제주도), 고려인의 자주성 보여줌
- 원의 내정 간섭 :정동행성 설치, 몽골품, 고려양
- 공민왕의 개혁 정치 : 반원 자주 정책, 왕권 강화 정책, 개혁 실패의 원인(권문세족반발, 개혁추진세력 미약,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)
6)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
- 신진사대부의 등장
- 신흥 무인세력의 성장 : 이성계, 최무선, 최영, 박위
-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 : 명의 철령 이북 땅 요구 -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- 과전법 제정 - 반대파 제거 - 조선건국(1392) - 한양천도(1394)
[오답정리]
- 태조 왕건은 호족세력을 통합하여 집권체제 안정시키고자 하였음
- 고려는 농업 중심의 경제구조였기 때문에 상업은 부진하였으며, 현물이 교환의 매개 수단으로 널리 활용됨
- 고려 후기에는 사원 수공업과 민간 수공업이 발달하였으나, 여전히 수공업의 중심은 관청 수공업이었으며 고려 전기에 비해 발달하지 못했음
- 문벌귀족은 과거와 음서를 통하여 관직을 독점하고, 정치권력을 장악하였음
+ 신라에 비해 개방적인 성격
- 관직에 따라 과전을 받고 공음전 및 사전의 혜택을 받음, 권력을 이용하여 불법적으로 개인이나 국가의토지 겸병함
- 상평창 : 물가조절 기구, 의창: 창고, 제위보 : 기금
- 유교 : 정치 이념으로 발달, 광종(과거제실시), 성종(최승로의 시무28조수용), 사학의 발전(최충의 9재학당), 예종(국자감), 역사서 편찬(삼국사기 김부식)